비거주자가 국내 상가를 증여를 받을때 증여세신고및납부 | 답변일자 : 2008-05-06
● 질문
미국에 거주하는 (갑)이 서울의 상가등을 부모형제로 부터 증여
받을 때 증여세 신고및 납부는 어느 방법으로 하는지?
1.(갑)이 현재 비거주자 이기때문에 미국세법이나 한국의 상증법중
유리한 쪽을 선택하여 신고납부한다
2.한국의 상증법을 적용하여 신고납부한다
3.(갑)이 우선 미국세법을 적용하여 관련세액을 납부하고
한국의 상증법을 적용하여 차액을 추가로 신고납부한다
● 답변
국세행정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에 감사드리며, 문의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O 상속세및증여세법 제2조 제1항 제2호의 규정에 의하여 수증자가 비거주자인 경우에는 비거주자가 증여받은 재산 중 국내에 있는 모든 재산은 증여세 과세대상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귀 상담의 경우 비거주자인 갑이 서울에 소재하는 부동산을 부모형제로부터 증여받을 경우 그 부동산에 대한 증여세를 상속세및증여세법에 따라 신고 및 납부할 의무가 있으며, 미국세법과 한국세법중 그 납부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질문
미국에 거주하는 (갑)이 서울의 상가등을 부모형제로 부터 증여
받을 때 증여세 신고및 납부는 어느 방법으로 하는지?
1.(갑)이 현재 비거주자 이기때문에 미국세법이나 한국의 상증법중
유리한 쪽을 선택하여 신고납부한다
2.한국의 상증법을 적용하여 신고납부한다
3.(갑)이 우선 미국세법을 적용하여 관련세액을 납부하고
한국의 상증법을 적용하여 차액을 추가로 신고납부한다
● 답변
국세행정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에 감사드리며, 문의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O 상속세및증여세법 제2조 제1항 제2호의 규정에 의하여 수증자가 비거주자인 경우에는 비거주자가 증여받은 재산 중 국내에 있는 모든 재산은 증여세 과세대상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귀 상담의 경우 비거주자인 갑이 서울에 소재하는 부동산을 부모형제로부터 증여받을 경우 그 부동산에 대한 증여세를 상속세및증여세법에 따라 신고 및 납부할 의무가 있으며, 미국세법과 한국세법중 그 납부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재외국민/양도소득세/종합부동산세/부동산 안내
글쓴이 : 최홍진 원글보기
메모 :
'재외국민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해외이주시 등기이전은 언제하는지? (0) | 2008.05.25 |
---|---|
[스크랩] 재외 국민 1세대1주택 비과세 (0) | 2008.05.25 |
[스크랩] 국외이주후 양도소득세가 궁금합니다. (0) | 2008.05.18 |
[스크랩] 유학으로 인한 양도와 이후의 매수 (0) | 2008.05.18 |
[스크랩] 해외이주자 1주택 양도세 비과세 확대적용 (0) | 2008.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