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 당대의 세도가였던 한명회(韓明澮)는 태종 15년(1415)에 태어나 성종 18년(1487)까지 70년을 넘게 살면서 부와 권력을 양 손에 잡고 있었다.
자는 자준(子濬)이요, 호는 압구정(狎鷗亭)·사우당(四友堂)으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상질(尙質)의 손자이며 기(起)의 아들이다. 본관은 청주(淸州).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젊어서는 대단히 불우하였지만, 세조의 계유정난(癸酉靖難)에 협력한 이후에는 세번이나 재상의 자리에 올랐고, 두 딸이 각각 예종비(睿宗妃) 장순왕후(章順王后)와 성종비(成宗妃) 공혜왕후(恭惠王后)로 책봉되어 국구(國舅)로서의 영화를 누렸다.
그는 이른바 칠삭동이로 태어났는데, 출생 직후에는 사지가 제대로 갖춰지지 못하여 늙은 여종이 낡은 솜옷에 싸두었더니 몇 달이 지나서야 제대로 형체가 갖추어졌다 한다. 조실부모한 탓에 나이 30이 넘도록 어렵게 지내며 과거에도 늘 실패하였지만, 종조부 한상덕(韓尙德)은 그를 집안의 천리마라고 칭찬하면서 아꼈다고 한다.
문종 2년(1452) 음덕으로 경덕궁직(敬德宮直)이라는 한직에 있었는데, 친구 권람(權擥)의 소개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을 알게 되어 그의 행로가 바뀌게 되었다. 그는 수양대군을 주군처럼 섬겼고 수양대군 역시 그를 자신의 장자방(張子房)이라 부를 정도로 극진히 대우하였다.
1453년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대궐을 접수하자, 그는 살생부(殺生簿)를 들고 홍달손(洪達孫) 등의 무사를 지휘하여 대궐에 나가 황보인(皇甫仁) 등의 대신들을 처단했다. 이때의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에 올라 사복시소윤(司僕寺少尹)이 되고 계속해서 동부승지 등의 자리에 올랐다. 1455년 세조가 즉위하자 좌익공신 1등으로 우승지가 되었다.
1456년(세조 2) 성삼문(成三問) 등 사육신의 단종복위운동을 좌절시키고, 그들을 주살(誅殺)하는데 적극 협조함으로써 좌승지를 거쳐 도승지에 올랐다. 1457년에는 이조판서에 올라 상당군(上黨君)에 봉해졌으며, 이어 병조판서가 되었다.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에 이어 우의정에 올랐고 좌의정을 거쳐 1466년 영의정이 되었다.
이때, 출세가도를 달리던 그가 유일한 낭패를 경험하게 되는 일이 생긴다. 이시애(李施愛)가 함경도에서 반란을 일으켰을 때, 신숙주와 함께 반란을 꾀했다는 혐의로 대궐에 구금되어 신문을 당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혐의가 없어 곧 석방되었고, 무리없이 왕실의 신임을 회복해낸다. 그는 권람·신숙주(申叔舟) 등과 인척관계를 맺고 세조 치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세조가 승하한 후에는 세조의 유교에 따라 원상(院相)으로 정무를 처결했고, 같은 해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 1등에 책록되고 예종 1년(1471) 영의정에 다시 복직되었다. 이 해에 예종이 죽고 성종이 즉위하자 병조판서까지 겸임하였다. 2년 후 좌리공신 1등에 책록되고 그 해 영춘추관사로서 최항(崔恒), 신숙주 등과 함께 I세조실록 J을 완성하였다.
그는 정치적인 문제 외에도 성종에게 학문을 진흥시킬 방안을 제시했고 서적이 부족한 성균관의 장서확충을 위하여 경사 관계의 서적을 많이 인출하여 비치하게 하는 등 국가적인 차원에서 학문연구의 기틀 마련에 관심과 노력을 보였다. 70세의 나이에 궤장을 하사받았다.
세조 즉위 이래 성종조까지 고관요직을 역임했고 군국대사에 많이 참여해온 한명회는 현달한 재상으로서 역대 왕들의 극진한 총애를 받아왔다. 세조는 특히 그를 총애하여 ‘나의 장량(張良)’이라고까지 표현하였다 한다. 유례 없이 4차례나 일등공신으로 많은 토지와 노비 등을 상으로 받아 부귀영화를 누린, 그야말로 인물 중의 인물이다.
그는 노후에 자연과 벗한다며 한강변에 압구정을 짓고 여러 선비들을 모아서 시연(詩宴)을 베풀곤 하였다. 그가 이곳에 정자를 짓자 임금은 축하의 글을 지어 하사하기도 하였고 선비들도 이에 화답하는 글을 지었는데, 최경지(崔敬止)라는 선비는 그의 현달한 위치를 은근히 비꼬기도 하였다.
당시 그의 정자는 중국 사신들에게까지 알려져 조선에 오는 사신들 중에는 압구정에 와서 놀기를 원하고 있었으므로, 그는 중국 사신을 접대하려고 궁중에서만 쓸 수 있는 용봉차일(龍鳳遮日)을 설치하려고 했다가 사간원의 탄핵을 받기도 하였다.
세조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충성(忠成)이다. 1504년(연산군 10년) 갑자사화 때 연산군의 생모 윤비폐사(尹妃廢死)에 관련하였다 하여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뒤에 신원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