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이민자 한국내 부동산을 배우자에게 증여 | 답변일자 : 2008-04-24
● 질문
안녕 하십니까.
저희가족은 2006년 7월 세대원 전원이 캐나다 영주권을 받아 이민 왔습니다.
과천 원문동에 18평 아파트(현시가 7억8천, 9천에 전세 놓고 왔음/ 다른 부동산은 없고 1가구 1주택) 한채가 본인 소유인데 사정상 처에게 증여 할려고합니다.
국세청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보니 배우자에게 증여시에는 6억까지 비과세 이던데 저처럼 해외거주자도 동일한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 답변
안녕하십니까?
귀하의 국세행정에 대한 관심과 협조에 감사드리며, 질의에 대하여 답변 드리겠습니다.
상속세및증여세법 제53조 규정에 의하면, 거주자가 배우자로부터 재산을 증여받는 경우, 2008.1.1이후 증여분 부터는 10년간 6억원이 공제되는 것입니다
- 증여받는 자가 비거주자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위 규정이 적용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 질문
안녕 하십니까.
저희가족은 2006년 7월 세대원 전원이 캐나다 영주권을 받아 이민 왔습니다.
과천 원문동에 18평 아파트(현시가 7억8천, 9천에 전세 놓고 왔음/ 다른 부동산은 없고 1가구 1주택) 한채가 본인 소유인데 사정상 처에게 증여 할려고합니다.
국세청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보니 배우자에게 증여시에는 6억까지 비과세 이던데 저처럼 해외거주자도 동일한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 답변
안녕하십니까?
귀하의 국세행정에 대한 관심과 협조에 감사드리며, 질의에 대하여 답변 드리겠습니다.
상속세및증여세법 제53조 규정에 의하면, 거주자가 배우자로부터 재산을 증여받는 경우, 2008.1.1이후 증여분 부터는 10년간 6억원이 공제되는 것입니다
- 증여받는 자가 비거주자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위 규정이 적용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출처 : 재외국민/양도소득세/종합부동산세/부동산 안내
글쓴이 : 최홍진 원글보기
메모 :
'재외국민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비거주자의 나대지 사업용여부 (0) | 2008.05.03 |
---|---|
[스크랩] 해외파견근무자 1주택장기보유비과세 해당 여부 (0) | 2008.05.03 |
[스크랩] 종합부동산세 / 비거주외국인의 종부세는 (0) | 2008.05.03 |
[스크랩] 증여받은주택의양도 (0) | 2008.04.18 |
[스크랩] 해외유학갔다가 최근 영주권을 받은경우 양도세 비과세 여부 (0) | 2008.04.09 |